아이들과 첫 등산
며칠 전 가볍게 집근처 봉화산에 올랐다가 담번에 김밥 사들고 와서 등산을 해보자고 했었더랬다. 아이들은 김밥을 ‘사서’ 온다는 사실에 이미 신이 났다(아내가 외식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). 그렇게 방학의 첫 날인 토요일 봉화산에 올랐다.

국립공원도 다녀오고, 캠핑에서 산책도 많이 했지만, 도시락을 챙겨 다녀오는 등산은 오늘이 첨이다. 작은 가방이라도 본인의 짐을 들고 다니게 하고 싶었다. 아이들의 짐이래야 별 것도 없었지만. 앞으로 등산이 즐거워지려면 각자의 배낭을 지고다니는 습관은 키워주고 싶었다. 최소한의 기준은 정해야 서로 편할 것 같았다.

등산하려다 아이들이 물을 찾을 때마다 가방에서 꺼내주는 게 은근 손이 가는 일이다. 요맘 때 애들을 키워본 부모는 알겠지만 몇 분마다 물을 찾는다. 배낭을 열어 물 전해주고, 넣고 하는 일을 줄이고 싶었다.
첫 등산에서 즐거운 기억들이 가득해야 담번 등산도 잘 와지리라. 다행이 애들은 각자 배낭 메는 것을 더 좋아했다.



정토사에 가니 이쁜 삼색 고양이 한마리가 사람 손을 반겨주고 있었다. 약간의 경계심도 보이는 듯 했지만, 이내 접근을 허락해 주었다.

정토원은 자그마한 절이다. 산 정상에 위치한 소담한 정토원을 보니 마음이 절로 차분해진다. 저 큰 종을 치고 싶어하던 여울이를 겨우 달래 다시 정상으로 향했다.


조금만 오르니 정상에 위치한 사자바위가 보인다. 사자바위엔 나름의 전망대가 갖춰져있는데 김해 시내가 한눈에 보인다. 노대통령께서 봉화산을 설명할 때 낮지만 높은 산이라 하셨다.

방향을 틀면 길게뻗은 낙동강 줄기도 한 눈에 보인다.

“봉화산은 낮은 산이지만 주변 지형이 낮아
사방이 훤히 보이니 낮지만 높은 산입니다.”


멀리서 보니 텃밭의 글씨가 잘 보인다. 내려와서 보면 이렇게 보인다. 늘 텃밭에서 보던 모습이다.

내려왔을 때 보면 글씨가 잘 보이지 않는다. 그래서 올해는 글이 잘 새겨지지 않았나보다 생각했었다. 수십번 봤는데도 제대로 못 봤었구나. 때론 멀리서 봐야 보이는 이치를 다시금 생각해본다.

사람사는 세상
참 좋아하는 글귀다. 노대통령께서 즐겨 쓰시던 말씀을 이렇게 사자바위에서 빛을 통해 보게되니 참 감격이다. 생전에 대통령께서 보셨더라면 참 좋아하셨을 것 같다.


단촐한 한 줄 김밥 도시락에도 아이들은 신이 났다. 도시락 덕분인지 아이들은 소풍온 것 처럼 내내 들떠있었다. 등산 중 발아프다고 칭얼댈거라 생각했던 노을이는 다람쥐같은 걸음으로 앞서갔다 아빠에게 돌아왔다하며 신이 나서 돌아다녔고, 여울인 김밥 먹을 적당한 장소를 물색하느라(꼭 산에서 김밥을 먹어야 한다며) 금방 하산할까 싶어 조바심 내고 있었다.


산 어귀를 여유롭게 걷고, 도시락을 먹으니 딱 두 시간 정도 소요된다. 우리 또래의 자녀를 둔 가족들에게 가볍게 산책하기 딱 좋은 코스다. 아이들은 담번에 또 산에 오르자며 좋아한다. 우리 가족의 성공한 첫 산행이다.
p.s 코로나 시대는 사람들과의 거리를 두게 만들었지만 가족들과는 거리는 가깝게 만들었다. 아이들이 어린지라 사람들이 없는 곳을 골라 마스크를 꼭 쓰고 야외활동을 한다.